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3DPrint인 게시물 표시

生 박테리아 잉크 쓰는 3D 프린팅 화상치료, 바이오센서 등에 이용

3D 프린터의 쓰임새가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초기단계지만 경제성이 확보되면 복잡한 제조라인을 대체할 수 있을 것 입니다. "3D박테리아 프린팅 응용분야는 화상 치료나 노화치료에 이용하는 방안이다. 박테리아를 함유한 3D 센서를 만들어, 마시는 물에 있는 독성을 감지하거나, 원유 유출을 막는데 사용할 수 있다. 철강 및 인공뼈 생산하는 3D프린팅도 나와" http://www.sciencetimes.co.kr/?p=171599&cat=36&post_type=news

AI로 가짜 유명인사 사진 만들기, 더 정교해졌다

AI의 포토샵 실력이 대단하네요. 거의 실사에 가까운 수준인데 여기서 더 발전한다면 영상제작도 가능할 것이고 영화 제작에 연기자가 필요가 없을 수 도 있겠네요. 또 이를 정교한 3D 프린터로 제작 가능하다면... 당사자들은 어떤 기분을 느낄까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etc&oid=092&aid=0002125468

종이접기 형 모바일 로봇 만들기, 플랫 프린팅 로봇 '로보가미'

로봇  개념 설계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전문지식을 캡슐화. " 상호호환 가능한 부품 라이브러리와 퍼즐 조각처럼 인쇄할 수 있는 기본 요소를 결합해 접는 형태로 모양을 만들 수 있다 .  이같은 플랫 프린팅 스타일은 인쇄 시간과 재료 비용을 절반 이상 줄여준다 ."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38

배터리 없이 구동하는 '종이접기' 로봇 개발

배터리 없이 구동하는 '종이접기' 로봇 개발 ,  형상기억 소재가 접힌 자국을 기억하고 있다가 원 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이용해 , 로봇이 ' 변신 ' . 전력은 무선으로 공급 제작은 3D 프린터에 소재를 넣고 출력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sid1=&oid=001&aid=0009419755

사람 혈관도 3D프린터로 찍어 내 옮겨심는 시대 온다

이런 종류의 기술들이 축적될 수록 많은 인체장기가 인공으로 대체되고 평균 수명도 크게 늘텐데 인간 수명한계로 생각하는 115세를 넘어서게 될까요? 그렇다면 그 한계는 어디까지 일지..  “혈관 조직을 이용한 3D 세포 프린팅 기술을 통해 원하는 모양으로 혈관을 만들 수 있어, 향후 여러 겹의 혈관 벽을 추가해 동맥을 만드는 등 다양한 혈관 이식을 할 수 있게 됐다”며 “연구와 임상을 위한 법령이 만들어지고 연구가 계속된다면 10년쯤 뒤엔 바이오 혈관을 인간에 이식할 수 있게 될 것” http://news.joins.com/article/21857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