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로봇인 게시물 표시

DNA를 털실처럼 사용해 나노 구조체 만드는 기술 개발

우주 속을 항해하는 우주선 처럼 나노 봇이 우리 몸 속에 들어가 암세포만 제거하는 상상이 실제로 이루어 질 수 있을까요? 반도체 기술 발전 궤적을 따라간다면 먼 미래의 일은 아닐 것 같습니다. "사각형, 하트, 마름모꼴, ‘스마일’ 얼굴 등 다양한 형태를 제작해 전자현미경으로 확인했다. 가장 크게 만든 마름모꼴은 이전까지 비슷한 방식으로 만든 구조물보다 30배 이상 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오직 DNA 한 가닥만 필요한 방식으로, 수십 개의 DNA 조각을 준비해 서로 이어 붙여야 했던 기존 방식보다 훨씬 제작하기 쉽고 안정적이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20822

'엑소', 아이돌이 아니고 로봇?…엑소 수트 특허출원 활발, 아이언맨의 시대

아이언맨 처럼 일반인도 슈퍼히어로가 될 수 있는 기술, 문득 이러한 수트를 입고 경쟁하는 스포츠 이벤트(가칭 아이언맨 올림픽?)를 열면 사람들의 관심도 끌고 개발자들에게 동기부여도 하고 일석이조 아닐까 합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etc&oid=001&aid=0009626817

“한번에 12벌 다림질” 자동로봇 나왔다

다림질을 귀찮아 하는 사람에게 또는 시간이 부족한 1인 가구에 상당히 쓸만한 제품으로 보입니다. 시장 반응이 괜찮으면 GoPro처럼 경쟁사에서 더 저렴한 가격으로 복제 상품도 나올 것 같습니다. 영국 에피, 3분만에 다림질-건조-냄새제거까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etc&oid=092&aid=0002124616

‘사람 같은 로봇’ 한발짝 가까이 자연근육보다 강한 부드러운 인조근육

근육이 동작하는 원리와 유사한 로봇을 만들 수 있는 중요한 신기술이 나왔습니다. 두뇌에 해당하는 AI 발전 속도에 비해 실제 움직임을 구현하는 기술은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딘 편인데 이 신소재가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이번에 개발된 신소재는 변형률 밀도(그램 당 팽창률)가 자연 근육보다 15배나 크고 자기 체중의 1000배를 들어올릴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http://www.sciencetimes.co.kr/?p=168965&cat=36&post_type=news

로바르트, 인공지능 아마존의 '알렉사' 탑재 청소 로봇 개발 -베를린 'IFA 2017'에 출품

알렉사의 강점은 단연 개방성 입니다. 연동되는 기기가 많을 수록 그 가치는 올라가고 타 솔루션과 협업 시 유리한 입장에 서게 될 것 같습니다. " 초기의 청소 로봇은 집 내부를 무작위로 다니면서 모든 표면이 깨끗한지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최근에 선보이는 스마트한 모델의 경우는 똑똑한 모델은 체계적으로 움직이지만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스스로 모른다. 로바르트의 로봇 기술은 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집 구조를 이해하는 지능을 부여한다."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69

네이버/카카오의 스타트업 투자

아마존/구글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알찬 투자가 되어 우리나라에도 강소기업이 많이 생겼으면 합니다. 네이버, 시각인식 등 AI 스타트업 3곳에 투자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083102109954602004 카카오, 가정용 로봇 개발 스타트업 투자 케이큐브-카카오브레인, 토룩에 투자 http://platum.kr/archives/87272

종이접기 형 모바일 로봇 만들기, 플랫 프린팅 로봇 '로보가미'

로봇  개념 설계에 집중할 수 있도록 전문지식을 캡슐화. " 상호호환 가능한 부품 라이브러리와 퍼즐 조각처럼 인쇄할 수 있는 기본 요소를 결합해 접는 형태로 모양을 만들 수 있다 .  이같은 플랫 프린팅 스타일은 인쇄 시간과 재료 비용을 절반 이상 줄여준다 ."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38

배터리 없이 구동하는 '종이접기' 로봇 개발

배터리 없이 구동하는 '종이접기' 로봇 개발 ,  형상기억 소재가 접힌 자국을 기억하고 있다가 원 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이용해 , 로봇이 ' 변신 ' . 전력은 무선으로 공급 제작은 3D 프린터에 소재를 넣고 출력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sec&sid1=&oid=001&aid=0009419755

영국 CMR, 세계 최소형 수술용 로봇 개발 2018년 상반기 중 상품화 계획

수술용 로봇 ‘베르시우스(Versius)’은 높이 약 61cm, 너비 61cm로 기존 수술용 로봇(182cmX 182cm)보다 훨씬 작고, 무게도 3분의 1 수준이다. 회사는 1백만 파운드(약 14억 6000만원) 미만의 가격에 이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현재 전세계 수술용 로봇 시장 규모는 연간 40억 달러에 달하며 오는 2024년 2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http://www.irobo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76

알약 하나로 병 완치…꿈의 세상은 올까

현재 개발 중인 아래 복용 가능한 형태의 로봇들이 크기가 분자 또는 그 이하 수준으로 작아지고 기능이 고도화 되면 노화를 거의 멈추는 수준까지 가능하지 않을까? ■ 캡슐형 카메라 필캠(PillCam) ■ 봉합수술 하는 로봇 ■ 삼킨 건전지 꺼내주는 종이접기 로봇 ■ 만성질환 주사제 대체하는 로봇 알약 ■ 위 조직 검사용 캡슐 로봇 ■ 젤리처럼 생긴 의료용 로봇 ■ 결장 내시경 로봇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811151750&lo=zv44

새로운 개발, 발견에 대한 실마리는 자연에 있다

완전한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은 어렵다.. 첨단을 달리는 IT 분야 외에도 모든 영역에서 통용 가능한 것 같다. 미술, 음악 등 자연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된 로봇들 : 문어, 도롱뇽, 잠자리, 타조, 개, 풍뎅이, 나비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70704155351&type=det&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