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DNA에 정보 저장한다···세균 면역 체계 응용한 유전 정보 기억 기술 개발

실험내용을 DNA에 바로 기록하고 재연도 할 수 있어 훌륭한 도구로 활용가능할 것 같습니다.
좀더 기술을 응용하면 각 생물들의 DNA에 기록된 침입자들의 이력을 분석해 진화 역사를 연구하면 그 동안 몰랐던 사실도 발견할 수 있겠네요.




"세균은 침입했던 바이러스의 DNA를 ‘기억’하고 그에 대한 ‘방어’가 가능한 ‘크리스퍼(CRISPR-Cas)’라는 면역 체계를 갖고 있다. 세균은 외부에서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단백질 효소인 ‘크리스퍼 Cas’로 바이러스의 DNA를 잘라 자신의 DNA 안에 저장해놓는다. 그리고 다시 이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이를 기억해내 절단 효소인 CRISPR-Cas로 잘라내 방어한다. 새로운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마찬가지로 그 바이러스에서 DNA를 잘라내 자신의 DNA 사슬의 맨 마지막에 붙인다. 이런 식으로 세균 속 크리스퍼 면역 체계는 과거의 침입자들을 기록하는 저장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etc&oid=032&aid=0002834210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AI로 가짜 유명인사 사진 만들기, 더 정교해졌다

AI의 포토샵 실력이 대단하네요. 거의 실사에 가까운 수준인데 여기서 더 발전한다면 영상제작도 가능할 것이고 영화 제작에 연기자가 필요가 없을 수 도 있겠네요. 또 이를 정교한 3D 프린터로 제작 가능하다면... 당사자들은 어떤 기분을 느낄까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etc&oid=092&aid=0002125468

팔과 다리를 가진 스스로 걸어 다니는 ‘DNA 나노로봇’

기술 발전이 대단하네요. 동작원리나 컨트롤 방법이 잘 이해가 되진 않지만 인간 수명/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 같습니다. 첸 교수는 “분자 수준의 미세 공간에서 화학 물질을 끌어다 결합시키는 ‘분자공장’의 일꾼으로 활용할 수 있다. 혈류나 세포에 약물을 운송하고, 암세포 같은 몸 속 찌꺼기를 끌어다 버리는 의료용으로도 쓸 수 있다”고 말했다. http://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19749

델 테크놀로지스, IoT·AI 접목한 ‘IQT’ 발표··· "3년 간 10억 달러 투자"

제품과 솔루션은 잘 모르겠지만 작명 센스가 대단합니다.ㅎㅎ 더 똑똑한 사물인터넷’을 IQT(IQ of things)라고 명명 " 델 테크놀로지스의 IQT 전략은 이 같은 분산코어 아키텍처 위에 AI와 IoT를 결합하고, 고도화된 엣지 컴퓨팅을 더해 무수히 많은 데이터를 실질적인 비즈니스 통찰력으로 바꾸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http://www.ciokorea.com/news/35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