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구글, 인터넷 속도 14% 높이는 새 기술 BBR 개발

대단한 구글, 물리적인 대역폭 증설 없이 알고리즘을 개선해 최대 14%까지 증속
무조건 1위 기업이라 당연하게 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이것이  승자독식의 선순환



기존 TCP
트래픽 혼잡이 발생하면 전송 속도를 낮추도록 설계됐고, 전송과정에서 손실되는 패킷 수를 모니터링해 혼잡 상태를 판단한다. 대표적으로 'BIC(binary increase congestion control)'이다. 현재는 CUBIC


'BBR(bottleneck bandwidth and roundtrip)'
패킷 손실과 관계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최적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트래픽 속도를 실제로 측정하는 유일한 TCP 알고리즘이다


구글 서비스를 사용하는 기업 중 일부는 이미 BBR의 효과를 체험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구글 클라우드에서 웹사이트 50만개를 호스팅하는 워드프레스가 대표적이다.


http://www.ciokorea.com/news/35292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G 프로빔 TV’, 12cm 거리서 100인치 화면 띄운다

TV보다는 활용도가 높아보이네요 아직 화질을 따라가기는 힘들겠지만 스마트폰에 내장된 기능으로 출시된다면 정체된 스마트폰 시장에 새로운 혁신이 되겠죠? ■ LG전자, 짧은 투사거리로 대화면 보여주는 프리미엄 빔 프로젝터 출시 □ 투사거리 짧아 비좁은 공간에도 설치 가능 □ 촛불 1,500개 동시에 켠 밝기에 풀HD 해상도 ■ 스마트 TV 플랫폼 적용…PC 등 주변기기 없어도 동영상, 드라마 등 볼 수 있어 ■ 대용량 배터리로 최대 4시간 사용 가능한 ‘LG 미니빔 TV’도 함께 출시 http://social.lge.co.kr/newsroom/lg_beam_0820/

마이크로소프트, '사이클컴퓨팅' 인수··· 고성능 클라우드로 간다

유연하게 강력하게 점점 진화하는 인프라, 이제 인프라 운영자도 개발자가 되지 않으면... "클라우드가 빅 컴퓨팅의 세계를 빠르게 변화시켜 고객이 추가 인원 투입 없이도 대량의 워크로드를 실행할 수 있는 온디맨드 인프라를 제공한다. 컴퓨팅 성능은 이제 더 이상 데이터센터 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http://www.ciokorea.com/news/35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