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AI 2020년 일자리 230만개 창출, 소멸은 180만개"

산업혁명 당시 새로운 기술이 많은 직업을 사라지게 했고 실제로 이를 두려워한 사람들은 기계를 파괴하기도 했습니다(러다이트 운동). 그러나 또 새로운 직업이 생겨났고 지금도 비슷한 상황인 것 같습니다. 무언가 새로 배우고 적응하는 것이 피곤한 일이지만 AI 시대에는 어떤 기회가 있을지 기대하고 관심을 가져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2021년에는 IT직원의 40%가 기술이 아닌 비즈니스 위주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IT 버서틸리스트(Versatilist·다재다능한 인재)'가 된다고 가트너는 전망했다.

온디맨드 인프라를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및 운영(I&O)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해당 영역부터 변화가 시작되며, 확고한 I&O 기반을 갖추면 다재다능한 비전문 IT관리자와 리더 숫자가 증가한다는 예측이다. IT 기술 전문가 채용은 오히려 5% 이상 감소한다."


http://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1052989&g_menu=020200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LG 프로빔 TV’, 12cm 거리서 100인치 화면 띄운다

TV보다는 활용도가 높아보이네요 아직 화질을 따라가기는 힘들겠지만 스마트폰에 내장된 기능으로 출시된다면 정체된 스마트폰 시장에 새로운 혁신이 되겠죠? ■ LG전자, 짧은 투사거리로 대화면 보여주는 프리미엄 빔 프로젝터 출시 □ 투사거리 짧아 비좁은 공간에도 설치 가능 □ 촛불 1,500개 동시에 켠 밝기에 풀HD 해상도 ■ 스마트 TV 플랫폼 적용…PC 등 주변기기 없어도 동영상, 드라마 등 볼 수 있어 ■ 대용량 배터리로 최대 4시간 사용 가능한 ‘LG 미니빔 TV’도 함께 출시 http://social.lge.co.kr/newsroom/lg_beam_0820/

마이크로소프트, '사이클컴퓨팅' 인수··· 고성능 클라우드로 간다

유연하게 강력하게 점점 진화하는 인프라, 이제 인프라 운영자도 개발자가 되지 않으면... "클라우드가 빅 컴퓨팅의 세계를 빠르게 변화시켜 고객이 추가 인원 투입 없이도 대량의 워크로드를 실행할 수 있는 온디맨드 인프라를 제공한다. 컴퓨팅 성능은 이제 더 이상 데이터센터 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http://www.ciokorea.com/news/35210